PlainDiary 52

예전과 달라진 것.

며칠 전 집에서 혼자 밥을 먹다가 문득 생각이 나서 끄적이는 글. 초등학교 4학년쯤. 내 방에 전화기를 하나 놓았다. 물론 번호를 따로 놓은 것도 아니고, 특수한 기능이 있는 전화기도 아닌 일반 유선전화기. 그때 뭐 그리 기뻤는지 몰라. 초등학교 6학년 되기 직전 내가 MP3를 하나 갖게 되었다. 라디오도 안되던, 배터리 AAA 하나로 5시간 재생하는, 용량은 무려 64메가(!) MP3. 그때도 뭐 그리 기뻤는지 몰라. 중학교 1학년 말 누나의 핸드폰을 물려 받게 되었다. 픽셀이 다 보이는 액정에 카메라도 없던, 전화 문자 그리고 텍스트 인터넷 조금 하던, 그것도 참 기뻤는데. 이제는. 핸드폰, MP3, 그리고 PC 수준의 인터넷이 가능한 아이폰을 쓰면서 (물론 기쁘긴 하지만) 그걸 쓰면서 무언가 다른 ..

PlainDiary 2010.08.12

생각은 많은데

되는 건 왜 이리 없을까. 할 일은 쌓였는데 한 일은 왜 이리 없을까. 고민은 많고 이를 풀어두고 싶은데 어떤 상황에서든 나를 이해해줄 수 있는 마땅한 사람이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난 오늘도 휴대폰을 켜고 트위터에 쓰려는 순간- 이런 얘기를 나누기엔 트위터는 너무 좁고도 넓고, 넓고도 좁다. 또한 내 얘기를 왜곡 없이 전달하기엔 버겁다. 결론은 이 역시 마땅하지 않다. 어느 옛날 내 고민을 들어주던, 아니면 내 분노를 풀어주던, 심지어 내 아이디어까지도 넣어두던. 많은 생각을 갖고도 버거워하지 않고 조용히 내 말을 들어주고 저장해두던 내 예전 휴대폰이 생각나는 밤. 댓글 하나 하나가 제게 힘이 되어요. 만에 하나 이 글을 보신다면 꼭 댓글 달아주세요.

PlainDiary 2010.07.21

우리나라 대표팀, 잘 했습니다.

잘 했지만 아쉬운 우리 대표팀. 슬픈 마음을 풀 곳이 없어서 트위터에서 풀려고 했는데, 140자로는 못 풀 것 같아서, 여기에 140자는 아니지만 간단하게 정리해봅니다. 제 생각이에요. 절대적인 기준 아닙니다. 댓글은 환영이지만 태클은 자제요. 1. 희망. 다음 월드컵에서도 활약을 기대해봅니다. - 이청용 : 어린 나이에 세계 무대에서 충분히 통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2골 기록으로 현재 한국 월드컵 역사상 한 대회 최다골 타이기록입니다. 다음 월드컵, 다다음 월드컵, 혹시 2022년 한국에서 월드컵을 개최하면 그때까지 볼 수 있겠죠? - 기성용 : 소속팀에서 최근에 경기를 못 뛰어서 걱정했는데, 월드컵까지 기량을 끌어올렸습니다. 아쉬운 부분이 딱히 보이지 않았고, 기대만큼 해 줬다고 봅니다. 역시 다..

PlainDiary 2010.06.27

그의 고민

지금껏 자신의 성적표에 B+ 이하는 허락하지 않은 여자가 있다. 그리고 그 성적표를 2년간 받은 부모가 있다. 그리고 그 집에는 그 남자가 있다. 그는 예전에도 성적이 높은 편은 아니었다. 그래서 그는 재수를 했고 그래서 대학에 들어갔다. 그리고 받는 첫 성적 그는 지금껏 A'만' 찍힌 성적표를 보던 부모에게 어떻게 이 사실을 알려야 할 지 어떻게 이 성적표를 보여드릴 지 고민한다. 그렇게 시간은 지나는데 결론은 나지 않고 그 날은 가까워지고 있고 그는 그의 머릿속은 계속 그 자리에 머물러 있을 뿐

PlainDiary 2010.06.23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동시에 쓰는 것...

굉장히 힘든 일 같습니다. 물론 블로그를 SNS의 범주에 넣기엔 좀 무리가 있지만요. (그래서 제목에 '소셜'을 과감히 빼 버렸습니다.-ㅁ-;;;) 현재 영역이 어느 정도 겹치는 게, 제 기준으로 트위터-페이스북-블로그-싸이월드...입니다. 블로그는, 중학교때부터 쓰기 시작했는데, 제가 블로그에 정말 열심히 신경을 쓰던 시절은, 설치형 블로그 '태터툴즈' 0.95 때였던 듯 싶습니다. 이후 무료 호스팅 서버가 날라가서 데이터를 날려먹은 슬픈(ㅠㅠ) 기억도 있고, 아이팟 나노 발표 시점에 관련 포스팅 하나 올렸다가, 평균 방문자가 두자릿수였던 블로그가 하루 방문자 500명을 찍은 기억도 있습니다=ㅁ=ㅋ 고등학교 때 태터툴즈 기반 '티스토리'블로그가 나왔다고 해서, 친구를 통해서 티스토리 블로그를 만들었고,..

PlainDiary 2010.05.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