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가볍게 보는 화질 비교 1탄으로, 하나의 폰에서 찍은 서로 다른 사진들을 보여드리려고 합니다.
그 전에, 요즘 스마트폰들이 왜이렇게 렌즈를 많이 달고 있느냐?
렌즈 하나로는 모든 상황을 만족하는 사진을 찍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일단 렌즈를 통해서 들어온 빛이 센서에 상이 맺히려면 초점이 맞는 거리가 필요하구요,
-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것, 줌 카메라.
소위 말해서 코가 나오게 되죠. 이러면 필연적으로 두꺼워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물리적으로 움직이는 부분이 생기면 동작 시간을 소모하게 됩니다.
- 이너 줌 혹은 잠망경 카메라라고도 해서 폰의 앞뒤가 아니라 좌우 공간을 활용하여 거리를 확보하면,
두께를 유지하면서 줌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현재 폰카에 실제 적용이 된 상태입니다.
1:33 쯤에 S22U의 잠망경 카메라의 구조에 대해 대략적으로 나옵니다.
물리적으로 움직이는 부분이 들어가면 수리에도 영향을 주고,
동작 속도 문제도 있고,
고해상도 사진을 저장할 때 데이터 처리량 도 있고,
원가 관련된 문제도 있고,
이러저러한 이유로 인해 현 세대의 스마트폰들은 대부분 렌즈를 복수 개로 달고 나오는 추세죠.
그 중 갤럭시 S22 Ultra는 아래와 같이 4개의 카메라를 달고 있습니다.
예시를 이 폰으로 드는 이유는, 최근 여행 때 가져갔었기 때문입니다.
사진 하나에 집어 넣어 보았습니다.
렌즈별로 4개, 거기에 고해상도 모드 1개.
총 5개의 사진 결과물을 보시겠습니다.
근데 왜 6개냐구요?
10배 줌과 9배 (대략 9.7~9.9x 사이) 줌의 결과물도 같이 보려고 합니다.
10배 줌이 되기 직전에는 3배줌 카메라의 디지털 줌을 사용하거든요.
기본 카메라 사진모드 기준으로,
0.6~0.9x: 0.6x 초광각 카메라
1x~2.9x: 1x 광각 카메라 (메인)
3x~9.9x: 3x 3배줌 카메라
10x~: 10x 10배줌 카메라
와 같이 렌즈가 사용됩니다.
촬영 환경에 따라 (어두운 곳이라거나 초점을 잡기 힘들다거나...) 위 공식이 적용되지 않는 상황도 있습니다.
사진 용량도 촬영 환경에 따라 바뀌니 참고만 하세요.
해상도 | 용량 | 조리개값 | ||
1 | 0.6x 초광각 | 4000x3000 | 6.4MB | F2.2 |
2 | 1x 광각 (메인) 기본 12MP | 4000x3000 | 7.1MB | F1.8 |
3 | 1x 광각 고해상도 108MP | 12000x9000 | 33.6MB | |
4 | 3x 망원 3배줌 | 4000x3000 | 6.2MB | F2.4 |
5 | 9.x 망원 3배줌+디지털줌 | 4000x3000 | 2.9MB | |
6 | 10x 망원 10배줌 | 4000x3000 | 2.9MB | F4.9 |
다행히(?) 렌즈별로 서로 다른 조리개값을 사용해서, 몇배줌 렌즈를 사용중인지 확실히 구분이 갑니다.
그럼 이제 가장 광각부터 가장 줌한 사진까지 순서대로 보시겠습니다.
1) 0.6배 초광각
2) 1배 12MP
3) 1배 고해상도 108MP
(티스토리에서 20MB 이상 파일은 업로드가 안돼서 flickr에 업로드를 했습니다)
4) 3배
5) 9.x배
6) 10배
9.9배는 3배줌 렌즈에 디지털줌 및 자동 보정이 들어가서, 대비가 좀 확실하죠.
10배줌은 10배줌 렌즈 자체로 찍은거고, 제 폰이 뽑기가 좀 잘못된거라 렌즈가 좀 흐릿해요.
이렇게 유난히 10배줌에서 뿌연 사진이 찍히는 이슈가 좀 있는 분들이 있더라구요.
없는 폰도 있어요 친구 폰은 안이랬음.
중앙부 아치와 글씨만 크롭해서 10배줌 렌즈와 비교하면 이렇습니다.
이게 놀라운 결과죠. 같은 렌즈지만, 고해상도로 찍으면 이렇게 잘라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는 점.
이래서 고해상도 사진을 찍는 장점도 있지만, 위에 보시듯 12MP 대비 파일 용량이 4~5배 된다는 점,
그래서 위에도 언급했듯 티스토리에서 안받아줄 정도고, 카카오톡 사진 첨부도 사진으로 안 가고 파일 첨부로 전송이 됩니다.
따라서 일상적인 용도로 고해상도 모드는 굳이...?라는 생각입니다.
심지어 S23 울트라부터는 200MP로 화소가 더 올라갔죠.
그리고 이런 빛이 충분한 환경에서 찍어서 그렇고, 실내 / 야간에서의 고해상도 모드는...별로입니다.
렌즈가 뿌옇기에 10배줌이 별로처럼 보이지만, 디테일에서 확실히 살아있습니다.
결론
- 카메라 렌즈가 여러개인데는 현실적으로 최적화된 사진을 찍기 위한 이유가 있다
- 웬만하면 광학 줌을 쓰는게 아무래도 낫다
- 고해상도는 좋은 환경에서 그 가치를 하지만, 일상적으로 쓰기엔 좀 무리가 있다.
그럼 사진 화질 비교 2탄은 이제 서로 다른 핸드폰/카메라 로 찍었을 때의 비교로 찾아오겠습니다.
'iPhone&Android Pho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폰 SE (1세대) 배터리 자가 교체하기 (러허허 배터리) (0) | 2024.11.10 |
---|---|
갤럭시 Z 플립 6과 Z 플립 1세대 외관 비교, 그리고 갤럭시 링 구경하기 (1) | 2024.07.27 |
갤럭시 Z 폴드 6 첫인상, 그리고 하루만에 핸드폰 잠기고 초기화한 후기 (1) | 2024.07.21 |
지긋지긋한 스팸 문자 차단하기 - 스마트 스팸 필터 (아이폰 용) (0) | 2024.07.01 |